가구(架構) :공간을 형성하는 목조 건물의 골격 구조. 架構의 법식에 따라 單層, 重層, 通層으로 구분되고, 규모에 따라 三樑架, 五樑架, 七樑架,九樑架 등으로 구분된다. 기둥과 기둥사이를 하나의 단위로 삼았는데, 그것을 間이라 불렀다. 칸은 들보가 걸리는 방향과 도리가 걸리는 간격에 따라 樑間과 道理間이라 부르는데, 지금은 정면, 측면 및 몇 칸이라 계산한다. 또한, 칸의 위치에 따라 御間,來間, 退間이라 부르고, 안팎의 구조에 따라 外陣, 內陣이라 한다. 약 1∼3cm 정도 겉으로 나오게 된다. 고복형은 배가 불룩 나온 형을 말한다. 여러 층으로 된 건물에서는 평주와 通柱, 四天柱와의 사이에 있다. 통주나 사천주는 필요한 높이가 되도록 기둥나무를 접착시켜 만드는 것이지만, 고주는 긴 나무 하나로 세우는 것이 보통이다 고주는 위치에 따라 坪高柱와 隅高柱로 나누는데, 건물에 따라 우고주는 세우지 않을 수도 있다. 흔히 柱頭·小累, 첨遮 등으로 짜인다. 橫窓이라고도 한다. 일본과 중국의 鬼面瓦가 무섭게 성난 얼굴을 하고 있음에 반하여 우리 나라 귀면와는 삼국시대 이래 웃고 있는 모습이다. 神市시대에 桓因을 도와 人間事를 다스리던 참모중에 軍神과 孔神을 맡은 蚩尤는 장수가 있었는데, 귀면와는 그의 銅頭假面을 닮은 것이라고 한다. "장귀틀"이라 한다. ② 천장의 주변에 있는 천장틀. ③ 천장의 새막이 틀 중에서 길게된 부분. 기법을 말한다. 땅의 습기를 피하며 건물의 권위를 높이기 위하여 건물 아랫도리에 돌을 쌓거나 다른 자재를 써서 쌓아 올린 단인데, 기와와 벽돌로 섞어 쌓기도 하고, 돌로만 쌓기도 하며, 돌과 벽돌을 섞어 쌓기도 한다. 法堂 건축에서는 불교가 전래한 龍船을 법당에 비유하여 기단을 용선의 船體인 듯이 상징하여 구성하기도 한다. 모기둥이 쓰이는데, 절의 건물에는 대부분 圓柱가 쓰인다. 또한 기둥은 그 위치나 쓰임에 따라 平柱, 隅柱, 內高柱, 隅高柱, 四天柱, 刹柱, 東子柱, 活柱 등으로 나누고, 기둥을 깎는 기법에 따라 통기둥, 흘림기둥, 배흘림기둥 등이 있으며, 그밖에 귀솟음, 오금법 등의 법식도 있다. 수키와가 있고, 그밖에 일식기와인 평기와, 서양에서 쓰이는 양식기와 등의 종류가 있다. 준다. 이런 기왓골 때문에 "골기와"라고 부르기도 한다. 바닥 기와는 세겹이 겹쳐지도록 하여야 빗물이 골에 넘쳐도 새지 않는다. 기왓골이 용마루나 내림, 귀마루 등에 접합할 때 착고매기, 부고 등을 써서 정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