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박하고, 순박한 삶의 모습이 녹아있을 때...... 목조 집이 조금 화려한 아름다움이 있다면 초가집과 흙벽으로 이루어진 우리의 집은 투박하고 순박해서 아름답다. 거기에 더해 우리네 삶의 모습들이 녹아있을 때는 그 아름다움은 배가된다. 나는 시골을 다니면서 우리네 아버지와 어머니의 흔적들이 남아있는 것들을 찾아 기록을 했다.. 일상/한옥 이야기 2011.12.29
같은 듯하지만 달라서 아름다운 우리의 집 우리한옥은 얼핏보면 모두 같아 보이는데 세세하게 뜯어보면 같은 듯한데 같지않음이 아름다움이다. 안동을 포함한 경북북부지역을 자주 돌아다니면서 발견한 한옥들의 아름다움 중 세세하세 본 것들을 올려봅니다. 안동 추원재 창문 만대루에서 바라본 병산서원 입교당 영양 .. 일상/한옥 이야기 2011.12.28
고건축 용어 장선(長線) : 마루 밑에 한 자 가웃 가량의 사이로 가로 대어서 마루청을 받치게 한 나무. 長山. 장여 : 도리 밑에서 도리를 받치고 있는 모진 나무. 보통 두께 세 치, 높이 다섯 치이다. 長舌. 장혀(長舌) → 장여. 제공(諸工, 諸貢) : 供包에 있어서 첨차와 살미가 층층으로 짜여진 것... 일상/한옥 이야기 2009.03.20
고건축 용어 사래(蛇羅) : 추녀 끝에 설치하여 겹처마를 이루게 하는 굵은 部材. 부연의 선자서까래가 사래 좌우에 배설된다. 사래는 추녀 끝에 있으면서 끝이 노출되어 썩을 염려가 있으므로 吐首 등을 씌우거나 鬼面瓦를 박아 방지시켜 준다. 추녀와 사래를 설치할 때 그 曲率을 얼마나 잡아 주느냐에 따라 처마.. 일상/한옥 이야기 2009.03.20
고건축 용어 문얼굴(門-) : 문짝의 상하·중간·좌웨 짜맞춘 뼈대가 되는 部材. 문인방(門人枋) : 문얼굴의 위아래 또는 중간에 가로 건너지름 部材. 문중방(門中枋) : ① 문을 들이는 가로 낀 引枋의 총칭. 문틀이 되는 인방.② 문틀이 되는 벽 중간에 있는 중방(중인방). 문지방 (門地枋) 문설주 사이의 문밑에 가로 .. 일상/한옥 이야기 2009.03.20
고건축 용어 대공(臺工) : 대들보 위에 서서 종보와 중도리를 받치거나, 종보 중앙에 서서 종(마루) 도리를 받치는 구조물. 중도리를 받치는 것을 중대공, 종도리를 받치는 것을 마루대공이라 한다. 또한, 대공의 모양에 따라 童子대공, 覆花盤, 仰花盤대공, 波蓮대공, 板대공, 包대공 등이 있다. 대들보(大樑) : 기둥 .. 일상/한옥 이야기 2009.03.20
고건축 용어 꽃살문(-門) : 문살에 꽃무늬를 놓아 만든 문. 끼눈(蟹眼) : 박공널이나 추녀 끝에 소용돌이 모양으로 새겨지는 장식 무늬. 나비장 : 재목을 서로 이을 때에 쓰이는 나비모양의 나무 조각. 예로부터 가장 많이 쓰이는 이음새 기법의 하나이다. 낙양 : 기둥의 위쪽 측면과 昌枋의 밑에 돌려 붙인 波蓮刻으.. 일상/한옥 이야기 2009.03.20
고건축 용어 가구(架構) :공간을 형성하는 목조 건물의 골격 구조. 架構의 법식에 따라 單層, 重層, 通層으로 구분되고, 규모에 따라 三樑架, 五樑架, 七樑架,九樑架 등으로 구분된다. 간살이: 건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기둥이 중요한 것이므로, 기둥이 몇 개 섰느냐에 따라 집의 규모를 계산하였다. 기둥과 기둥사이.. 일상/한옥 이야기 2009.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