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에 내려졌던 단발령에서 유래하였던 듯
내 어릴적 머리를 자르는 것을 단발이라고 하였다.
그 머리 자르는 모습은
우리 막내가 자기와 닮은 사고를 가진 주인공 때문에
눈물을 흘리며 보았다는 영화
'집으로'
에 잘 그려져있듯이 그런 머리 깍는 모습이었다.
산골 작은 마을인 우리 동네에는
농사일을 겸하여서 머리 깍는 일도 하시는
아저씨가 하는 이발소는 있어도 미용실은 없었다.
그래서 우리 자매들은 자라면서
제일 큰 언니가 어느 정도 자라
가위질을 제대로 하게되면
여동생들의 머리를 깍아주고,
그렇게 바톤을 이어가면서
동생들의 머리를 깍아주는 것이 관례로 되어있던 터라
나도 그 예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내 머리를 깍아주는 일은 바로 위의 언니인 셋 째 언니의 몫이었다.
머리가 조금 길다 싶으면 셋 째 언니가
머리깍을 준비를 해서 마당으로 나오라고 하면
나는 우리집의 유일한 의자였던 다리가 약간은 길고
상판은 그때의 내엉덩이에 딱 맞을 크기로 모양이 둥글던
등받이도 없는 나무의자(일명 틀의자)와
머리 자른 것이 옷에 달라붙는 걸 방지하는
상체를 감쌀 보자기와 옷핀을 준비해서 마당으로 나가면
언니는 그 의자에 나를 앉히고
보자기로 윗도리를 싸서 옷핀으로 고정을 시키고
머리를 깍기 시작하는데,
뒤머리가 유별나게 목 아랫부분까지 나있던 나는
그곳을 깍을 때면 꼭 살을 자를 것 같아 지레 겁을 먹고 울기를 잘하였고 ,
그때마다 언니는 제비꼬리(그 모양이 제비꼬리 같다고)가 나있기 때문에
그걸 깍느라 언니가 힘드는데 울기까지한다고
꿀밤을 줘가면서 머리를 깍곤 하였으니
내 머리 깍는 것은 언제나 전쟁을 치르는 일이었다.
그렇게 전쟁을 치르듯 하던 단발도 중학교에 들어가고 미용실에
가게되면서 면도기에 힘입어 내 단발에 대한 공포도 사라졌고,
어릴 적 그렇게 말썽이 되었던 제비꼬리가 나이 들면서 그 진가를 발휘하여
올림머리를 했을 때 그 부분이 예쁘다 소리도 곧잘 듣게 되었으니. . .
그시절에도 학교가 있는 면소재지에는 미용실이 있어서
여자아이들은 미용실에 가서 '가니야게'라고 하는 유행하는 머리도 했었다.
'가니야게'는 나처럼 뒤 머리를 일정하게 싹둑 자른 머리모양이 아닌
밑에서부터 적당하게 층을 내어주는 멋쟁이 머리였으니
난 그 머리를 한 아이들을 마음 속으로 얼마나 부러워했던지.....
그 때 그 '가니야게'로 멋을 내었던 친구들은 지금 무얼하고 있을까?
또 추운 겨울이면 양지바른 곳에서
머리를 깍아주던 언니는 하늘나라에서 잘 지내는지.....
'일상 > 옛날 옛날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어릴 적 봄은.... (0) | 2012.03.22 |
---|---|
겨울 밤에 (0) | 2012.01.06 |
소죽 솥에 발 씻던 시절 (0) | 2011.12.16 |
산 보던 시절 (0) | 2011.12.10 |
벌초 (0) | 2011.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