풋 구 풋굿(첫풀을 매고 난 뒤에 그해 벼농사가 잘 되기를 비는 굿)에서 유래되었으나 조금은 변형되어 순수한 우리말 호미씻이(농가에서 음력 칠월경 농사를 잠시쉬고 노는 일)의 뜻을 가진 낱말과 같은그 행사를 우리 지방에서는 풋구라고 불렀다. 내 어릴 적 이맘때쯤 음력 칠월 백중쯤이면 .. 일상/옛날 옛날에 2007.02.10
참 정겨운 소리 얼마전 어느 잡지에서 보았습니다. 묵호항에 가면 아직도 작부가 따라주는 술을 마시고 젖가락 장단에 맞추어 노래 부르는 그런 모습을 볼 수 있다고 그 글을 읽으면서 '그 곳에 가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향수를 불러 일으키는 술집은 아니었지만 평은유원지, 우.. 일상/옛날 옛날에 2007.02.10
모깃불 우리 어릴 적에는 이렇게 날이 더워지기 시작하면 답답한 방안에서 저녁을 먹지 않고 마당에서 먹었었지. 그 시절 저녁메뉴는 주로 시원한 건진국시였는데 어둑어둑하게 땅거미가 내리기 시작하면 언니는 암반에 홍두께로 밀어 만든 칼국수를 부추나 애호박을 넣고 삶아서 금방 퍼 올린.. 일상/옛날 옛날에 2007.02.10
채송화 내가 어렸을 적 농촌은 어느 정도의 토지를 가지고 있으면 뜨거운 여름철도 그늘에서 편안하게 쉴 수 있는 여유가 없기 때문에 마당에 꽃을 심는 다는 것은 사치였습니다. 그러나 토지가 별로 없던 집의 처녀들은 다른 집 처녀들이 곡식을 기르는 일을 할 때 대신 좁은 골목길을 따라가며.. 일상/옛날 옛날에 2007.02.10
보리밥 차를 몰고 교외로 나가면 바람 따라 일렁이는 황금빛 물결 그 물결을 만드는 장본인이 보리란 걸 오랫동안 잊고 살았는데 얼마 전에 느끼게 되었어. 옛날에는 그 모습이 아름답다는 생각보다는 한여름 뙤약볕 아래 땀난 목에 휘감기는 보리 까시래기가 떠올려졌거든. 오월이 지나고 유월.. 일상/옛날 옛날에 2007.02.10
감꽃 얼마 전 카메라를 들고 내가 살던 곳과 아주 많이 닮은 동네, 길이 끝나고 더 갈 곳이 없는 그런 동네를 갔었어. 정신 없이 바쁘게 이곳 저곳을 기웃거리며 돌아다니다가 돌담 및 풀잎 위에 점점이 내려앉아 있는 감꽃을 발견하고 잠시 옛날 생각에 잠겼었어. 요즈음은 봄이 되어 가장 먼.. 일상/옛날 옛날에 2007.02.10
단발 일제강점기에 내려졌던 단발령에서 유래하였던 듯 내 어릴적 머리를 자르는 것을 단발이라고 하였는데, 그 머리 자르는 모습은 우리 막내가 자기와 닮은 사고를 가진 주인공 때문에 눈물을 흘리며 보았다는 영화 "집으로"에 잘 그려져있듯이 그 모습은 이러했다. 산골 작은 마을인 우리 .. 일상/옛날 옛날에 2007.02.10
감기약 이렇게 오랜 감기로 고생을 하다보면 떠오르는 감기약, 어릴 적 어매가 만들어준 그 약이 먹고 싶다. 읍내에서 20리, 면소제지서 10리나 떨어진 동네에서 살던 우리는 워낙 건강하게 자랐기 때문에 약을 먹어본 기억이라곤 여름에 먹던 말라리아 약과 감기약이 전부였는데, 그중 감기약은 .. 일상/옛날 옛날에 2007.02.10
메주 감기 들어서 며칠을 쉬었다 들어오니 재미있는 이야기 많이 올라있구나. 이 나이에 걸린 감기는 잘 낫지도 않으니 조심하게나. - - - - 메주 - - - - 내가 어렸을 적 우리집은 흙벽에 초가집이었습니다. 그 초가집에 살 적에는 된장이 어찌나 맛이있는지 단맛이 났었는데 블럭으로 벽을 쌓은 .. 일상/옛날 옛날에 2007.02.10
겨울밤에 윤희가 올린 사진 통나무집 창가로 눈이 내리는 사진을 보고 옛날이 생각났어. 우리가 초등학교에 다닐 적, 어른들의 눈을 피해 적당히 놀 곳이 없었던 우리는 정덕이네 과수원 원두막에 많이 모여 놀았던 것 같아. 캄캄한 밤에 삼삼오오 짝을 지어 동네 골목길을 돌아 마을 뒤쪽에 있는 .. 일상/옛날 옛날에 2007.02.10